메뉴 메뉴
닫기
검색
 

대학

제 756 호 서울캠퍼스 SM 문화제, 타임랩스(Time Lapse)

  • 작성일 2025-11-24
  • 좋아요 Like 0
  • 조회수 27
오도연

▲SM 문화제 포스터(사진: https://www.smu.ac.kr/kor/life/notice.do?mode=view&articleNo=760608&article.offset=10&articleLimit=10)


  지난 11월 5서울캠퍼스에서 SM 문화제가 시행되었다행사명은 타임랩스(Time Lapse)다양한 부스 콘텐츠 운영과 중앙동아리 공연 등을 통해 학생들의 캠퍼스 활동 만족을 도모하고 애교심을 고취시키자는 목적이었다행사는 오전 9시부터 저녁 10시까지스뮤스퀘어·사슴상 데크·중앙교수회관 앞·중앙교수회관 소강당·경영경제대학관 가는 길목·인문사회과학대학관 앞에서 진행되었다.


문화제 부스·공연


  총학생회는 학생 참여형 콘텐츠를 준비했다. 총학생회 ‘공명’은 12시와 14시, 총 2회 차에 걸쳐 이벤트 [내가 랜덤게임을 너무 잘하는 탓일까]를 준비했다. OX 퀴즈쇼, 복불복 게임, 줄자 세우기, 행주 볼에 짜기, 스톱워치 게임, 음식 빨리 먹기까지 총 6라운드의 게임에 참여하면 헤드셋, 스피커, 지갑 등 다양한 상품을 지급했다. 단과대 학생회도 다양한 참여형 부스를 운영하였는데, 인문사회과학대학 학생회는 운세 뽑기, 사범대학 학생회는 가챠샵/문구점, 경영경제대학 학생회는 다양한 테마별 퀴즈 게임, 융합공과대학 학생회는 [융공대를 이겨라!] 참여형 게임, 문화예술대학 학생회는 [뿅뿅 마루 오락실]과 문예대 소속 전공 연관 오락 및 게임을 준비했다.


  중앙동아리인 허밍, 얘놀, 발틱, 프리에, 그루빈 187, 토네이도, 소리마을은 사슴상 뒤와 스뮤스퀘어, 인문소강당에서 15시부터 19시까지 K-pop 댄스나 밴드, 아카펠라, 치어리딩 등의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해 주었다. 그 외에도 중앙동아리 상냥행은 상냥이 굿즈를 판매하였고, 발틱은 직접 기타 피크를 제작하고, 자신에게 맞는 밴드 포지션을 찾을 수 있는 체험 부스를 운영하였다.


  학생회와 동아리 외에도 축제의 즐길거리는 넘쳐났다. 6개의 푸드트럭이 중앙교수회관과 경영경제대학관 가는 길목에 배치되었고, 학생들이 음식을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야외 테이블을 설치해 취식존을 운영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추억을 오래 간직할 수 있도록 학교 곳곳에 포토부스 5대를 설치하고, 총학생회 공명은 폴라로이드로 사진 촬영을 해주는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이렇게 찍은 사진을 자랑할 수 있게 대학 본부 앞에 포토월을 마련하여 학생들이 추억 사진을 부착할 수 있게 하였다. 지난번 대동제 전야제에서 ‘라라랜드’ 상영회를 한 것처럼 이번 문화제에서도 야간 영화제를 운영하여 영화 ‘어바웃타임’을 상영하였다. 그 덕에 학생들은 낮부터 밤까지 문화제를 알차게 즐길 수 있었다.


SM 문화제 타임랩스’, 생생한 축제의 현장


  SM 문화제 '타임랩스'의 현장에서는 많은 학우들이 즐겁게 축제를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학생회 부스는 학생 참여형 콘텐츠를 즐기려는 학우들로 인산인해를 이루었고, 중앙동아리가 공연하는 장소에도 많은 학우들이 자리하여 공연을 더욱 빛내주었다. 학생회 부스는 전체적으로 학우들이 참여하기 쉬운 체험 콘텐츠가 대다수였다. 다양한 참여형 게임을 통해 상품을 주는 형식의 콘텐츠는 학우들의 흥미를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기자 본인도 여러 부스 행사에 참여하였는데, 예능 프로그램에서만 보던 게임을 실제로 해보는 경험이 색다르고 신기했다. 학생회에서 열심히 준비한 것이 느껴질 만큼 잘 짜여진 콘텐츠는 축제 분위기를 한층 끌어올렸다. 15시 30분부터 시작되어 19시 정각까지 이어진 동아리 공연은 가을 분위기와 맞물려 낭만적인 풍경을 연출하기도 하였다. 음악, 밴드 동아리는 가을 분위기에 어울리는 노래를 준비하여 현장의 열기를 달궜고, 댄스와 치어리딩 동아리 또한 쌀쌀한 날씨 속에서도 준비한 무대를 열정적으로 보여주며 축제의 흥을 정점으로 이끌었다.

▲오세현 학우의 공연 모습 (사진: 박찬웅 기자)


  중앙동아리 얘놀 소속으로 축제에 참여한 국어교육과 25학번 오세현 학우는 "학교에서 무대에 설 기회를 마련해주는 것에 정말 감사하다"라고 소감을 밝히면서 "열심히 연습한 공연을 많은 학우분들께서 즐겨주셔서 좋았고, 이번 SM 문화제는 저희 동아리가 계속해서 좋은 활동을 할 수 있는 힘이 되어 주는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사범대학 학생회 부스 운영에 참여한 국어교육과 25학번 박정현 학우도 "축제를 즐기는 학우분들이 많아 부스 운영이 다소 힘들었지만, 준비한 콘텐츠를 통해 즐거워하는 학우분들을 보니 보람찼다"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남겼다. 대학교 커뮤니티 서비스인 '에브리타임'에서도 이번 SM 문화제가 생각보다 알차고 재미있었다는 반응을 볼 수 있었다.

▲중앙동아리 허밍 유튜브(사진: https://m.youtube.com/@smu_humming)


  아카펠라 동아리 ‘허밍’은 사슴상 앞에서 ‘칵테일 사랑’, ‘남이 될 수 있을까’, ‘여행’, ‘WELCOME TO THE SHOW’까지 총 4곡을 9명의 학우가 준비했다. 공연 사진이나 영상을 찍어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공유하면 상품을 증정하는 이벤트도 함께하며, 많은 학생들의 호응 속에서 공연을 마무리했다. 개인 일정으로 공연을 관람하지 못한 학우들을 위해, 허밍 유튜브에는 문화제 현장이 생생히 담긴 영상이 업로드되었고, 그 덕에 문화제의 추억을 계속해서 볼 수 있게 되었다.

▲중앙동아리 상냥행 부스(사진: 상냥행 제공)


  상냥이의 보호와 고양이 인식 개선 캠페인을 진행하는 동아리 ‘상냥행'은 [내 냥이가 되어라!!] 부스를 운영하였다. 천 원 뽑기를 통해 다양한 굿즈를 증정하고, 굿즈 전시회를 진행하였다. 특히 이번 문화제에서는 매년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텀블벅의 신상 굿즈를 처음 선보였는데, 맥세이프 카드지갑과 맥세이프 그립톡, 포스트잇, 볼펜의 선주문을 오픈하였다. 상냥이의 모습이 담긴 다양한 굿즈는 학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고, 선주문을 받는 쾌거도 이뤄냈다. 참고로 텀블벅 프로젝트는 11월 12일 시작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에브리타임이나 상냥행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


SM 문화제긍정적인 점과 개선점


  이번 SM 문화제 '타임랩스'는 작은 규모지만 학우들이 축제를 알차게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학생 체험 중심의 다양한 콘텐츠와 훌륭한 수준의 동아리 공연, 축제 콘셉트에 걸맞은 포토부스와 폴라로이드 사진 촬영 이벤트 등은 학우들이 축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좋은 행사였다. 다만 다음 SM 문화제에는 많은 먹거리와 부스를 통해 더 많은 학우들이 축제를 즐길 수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도 있다. 상명대학교의 가을을 빛낸 SM 문화제 '타임랩스', 앞으로도 계속해서 학우들에게 알찬 즐거움을 주는 축제가 되기를 바란다.



오도연박찬웅 기자